Vomiting every time I become aware of my existence_Jean-Paul Sartre, Humanities Travel Series.

 

Vomiting every time I become aware of my existence_Jean-Paul Sartre, Humanities Travel Series.

Vomiting every time I become aware of my existence_Jean-Paul Sartre, Humanities Travel Series.

 

Jean-Paul Sartre was born in Paris, France, on June 21, 1905.

Paris is renowned for its extensive history, exceptional art, culture, and famous landmarks.

It is commonly referred to as the “City of Light” due to its historical association with intellectual enlightenment and its impressive nighttime illumination.

 

Sensory exotropia.

 

Jean-Paul Sartre experienced symptoms of sensory exotropia when he was two years old.

Sensory exotropia is a form of strabismus characterized by misalignment of the eyes, with one eye turning outward instead of toward the nose.

This condition is frequently linked to reduced or lost vision in one eye.

It occurs when the brain suppresses visual input from the weaker eye.

Sartre’s appearance was affected by this condition, and it, in turn, influenced his experiences and interactions with others.

 

 

Private school Kur Atem.

 

Sartre attended the private school Cour Hatem in Paris as a teenager.

Founded in 1885, Cour Hatem is renowned for its rigorous academics and traditional teaching methods.

Sartre developed an interest in philosophy when he read Henri Bergson’s essay titled “Time and Free Will.”

This intellectual encounter played a significant role in shaping his philosophical outlook.

 

 

École Normale Supérieure.

 

Sartre studied at the École Normale Supérieure in Paris.

The École Normale Supérieure is one of the most prestigious institutions of higher education situated in Paris.

Established in 1794, ENS is known for nurturing students who achieve international recognition in various academic disciplines, including philosophy, literature, science, mathematics, and the social sciences, among others.

Jean-Paul Sartre’s master’s thesis in 1928 was titled “Images in Psychological Life: Role and Essence.”

 

 

Paris, Montparnasse District.

 

Montparnasse is a historic and lively district located to the south of Paris, France. It is renowned for its rich cultural and artistic heritage, diverse population, and a wide array of tourist attractions.

It served as a focal point for existentialist thinkers, where figures like Sartre engaged in debates and discussions.

 

Montparnasse, often referred to as the “Artist Quarter,” was a gathering place for renowned artists and writers like Pablo Picasso, Amedeo Modigliani, Jean-Paul Sartre, and Simone de Beauvoir.

They came here to exchange artistic ideas in salons, cafes, and studios.

 

When visiting, be sure to explore cafes like De Flor and Les Du Margaux.

The Montparnasse Tower stands prominently in the district, offering breathtaking views of Paris from its observation deck on the 56th floor.

You can enjoy vistas that encompass the Eiffel Tower, Notre Dame Cathedral, and the entire city.

 

Montparnasse boasts a wide range of cafes and restaurants, offering diverse cuisines from traditional French fare to international dishes.

The district is a hub for entertainment and cultural events, featuring several theaters and cinemas, including the Bovino Theater and Montparnasse Cinema.

 

Montparnasse provides a diverse shopping experience, with a mix of high-end boutiques, department stores, and small shops.

Montparnasse-Bienvenue Station is a major railway station in France, serving as a transportation hub.

High-speed trains (TGV) depart from here to various destinations across France.

 

Don’t miss the Luxembourg Gardens, famous for the beautiful Medici Fountain. Montparnasse Cemetery is one of France’s renowned burial grounds, where notable figures such as Jean-Paul Sartre, Simone de Beauvoir, Charles Baudelaire, and Samuel Beckett rest.

It is known for its distinctive tombstones and statues.

 

 

Institut français d’Allemagne.

 

From 1933 (at the age of 29) to 1934, Sartre studied the phenomenological philosophy of Edmund Husserl at the French Institute in Germany in Berlin, under the guidance of Raymond Aron.

 

The relationship between Sartre and Aron exemplifies the intellectual diversity and political tension in France. Sartre, associated with Marxism, strongly criticized capitalism and imperialism.

In contrast, Aron defended liberal democracy and capitalism, leading to conflicts with Sartre’s political views.

 

The public debate in the French magazine “Les Temps Modernes” concerning the Korean War in the early 1950s is well-known.

Aron’s contributions to political theory, international relations, and sociological analysis have enhanced our understanding of liberal political thought and the complexities of the Cold War.

 

Edmund Husserl is the founder of German phenomenology.

Phenomenology is a philosophical approach that examines the structure of consciousness and experience.

It investigates how objects in the external world are perceived in our conscious experience of their existence.

 

Husserl’s methodology of phenomenological reduction had a profound impact on Sartre and served as a foundational concept for Sartre’s existentialism and ontological phenomenology.

Existentialism is a philosophical and literary movement that emphasizes personal freedom, choice, and responsibility while confronting the inherent meaninglessness and futility of existence.

 

 

First Novel ‘Vomiting (1938)’.

 

Sartre embodies existentialism through his literature.

In his first novel ‘Vomiting (1938),’ the author reveals his own experiences that form the basis of existentialist philosophy.

This marks the crucial summer of self-searching.

Quantitative growth is complete, and qualitative growth is underway.

 

The French Third Republic (1870-1940) faced a severe financial crisis when Germany, due to economic difficulties, couldn’t fulfill its war reparations for World War I.

In 1930, the country encountered significant economic challenges due to the overvalued exchange rate policy of the franc linked to the gold standard.

In July 1931, Germany’s Weimar Republic abandoned the gold standard due to depleted foreign exchange reserves.

In 1932, an expansionary monetary policy was adopted to prevent a devastating economic crisis.

In 1933, Hitler’s Third Reich drove humanity, already shattered by World War I, into complete catastrophe.

 

Sartre captures the moral crisis prevalent in French society in ‘Vomiting.’

Sartre’s alter ego, Roquentin, vomits whenever he becomes aware of his existence.

Vomiting isn’t a physiological phenomenon but an ontological concept.

It’s an unfamiliar and absurd sensation one experiences when confronted with the fundamental nature of human existence.

The moment you become aware of your existence in a life filled with perpetual boredom, absurdity engulfs the world.

The world of existence loses its meaning and necessity.

Suffering arises from the conflict between objects and consciousness.

I cry out against the self-deception and hypocrisy of snobs who refuse to see reality clearly.

To give value to existence, we cry out for existence through vomiting.

At every moment, the past unravels, and the present, encompassing the future, presents the curse of freedom.

Leap into the future and freely shape your own existence.

We aspire to be fully present in the present as creative beings.

Existence is the ‘sum total of a person’s actions’ that takes precedence over essence.

Vomiting forms the basis of Sartre’s existentialist philosophy and serves as a pioneering concept in Anti-Roman, as demonstrated in ‘Being and Nothingness (1943).’

Sartre’s existential choice and human freedom faced stagnation with the rise of structuralism in the 1960s.

 

NomadSirius eBook Sales Site. 

Kyobobook https://zrr.kr/qeZ8

Yes24 https://url.kr/zbgtqy

Aladin https://url.kr/4b1hk7

 

Penlip(400 stores and 200,000 libraries worldwide), Google Books, Apple iBooks, Amazon Kindle, U-Paper(other distribution networks), Naver Smart Store.

 

 

실존에 대한 자각이 있을 때마다 구토를 하다_사르트르.

 

사르트르는 1905년 6월 21일 프랑스의 파리에서 태어난다.

파리는 풍부한 역사, 세계적인 예술, 문화, 아이콘적인 랜드마크로 유명하다.

밝은 지성에 대한 역사적 역할과 밤의 멋진 조명 때문에 종종 ’빛의 도시‘라고 불린다.

 

감각성 외사시.

 

사르트르는 2세 때 감각성 외사시 증후를 보인다.

감각성 외사시는 눈이 일치가 되지 않는 사시의 한 유형이다.

한쪽 눈이 코 쪽으로 향하지 않고 바깥쪽으로 돌아간다.

이 질병은 종종 한쪽 눈에서 시력이 감소하거나 상실되는 것과 관련이 있다.

이 현상은 뇌가 보다 약한 눈의 시각 입력을 억제함으로써 발생한다.

이 상태는 샤르트르의 외모에 영향을 주어 다른 사람들과의 경험과 상호 작용에 영향을 미친다.

 

사립 학교 쿠르 아템.

 

사르트르는 10대에 파리의 사립 학교인 쿠르 아템에 입학한다.

1885년에 설립된 쿠르 아템은 학문적 엄격성과 전통적인 가르침 방식으로 유명하다.

앙리 베르그의 에세이인 시간과 자유의지를 읽고 철학에 매료된다.

 

에콜 노르말 슈페리유르.

 

사르트르는 파리의 에콜 노르말 슈페리유르에서 공부한다.

에콜 노르말 슈페리유르는 파리에 위치한 가장 명문인 고등 교육 기관 중 하나이다.

1794년에 설립된 ENS는 철학, 문학, 과학, 수학, 사회과학 및 기타 다양한 학문 분야에서 국제적으로 인정받는 학생들을 양성하는 것으로 유명하다.

사르트르의 1928년 석사 학위 논문은 “심리적 생활 속의 이미지: 역할과 본질”이다.

 

 

파리, 몽파르나스 지구.

 

몽파르나스.는 프랑스 파리의 남쪽에 위치한 역사적이고 활기찬 지구로, 풍부한 문화와 예술적 유산, 다양한 인구와 다양한 관광 명소로 유명하다.

사르트르와 지식인들이 토론과 논쟁을 벌인 실존주의 사상가들의 중심지이다.

“아티스트 쿼터”로 불린 몽파르나스는 파블로 피카소, 아메데오 모디리아니, 장-폴 사르트르, 시몬 드 보보아 등의 유명 예술가와 작가들이 이곳을 찾아 예술 살롱, 카페, 스튜디오에서 아이디어를 교환했다.

드 플로르와 레 듀 마고 같은 카페를 방문해 본다.

몽파르나스 타워는 이 지구에 있는 두드러진 고층 빌딩이다.

56층에 위치한 전망대에서 파리의 아름다운 전망을 감상할 수 있다.

에펠탑, 노트르담 대성당 및 도시 전체의 풍경을 감상한다.

몽파르나스에는 다양한 요리를 제공하는 카페와 레스토랑이 많다.

전통적인 프랑스 음식부터 국제 요리까지 다양한 선택이 가능하다.

몽파르나스에는 여러 극장과 영화관이 있어 엔터테인먼트와 문화 행사의 중심지이다.

보비노 극장과 몽파르나스 시네마는 주목할 만한 장소로 꼽힌다.

이 지구에는 하이엔드 부티크, 백화점 및 작은 상점이 혼합되어 다양한 쇼핑 경험을 제공한다.

몽파르나스-비앙베뉴역은 프랑스의 주요 기차역 중 하나로 교통의 중심지이다.

이곳에서 고속 기차(TGV)가 프랑스 다양한 목적지로 출발한다.

뤽셈부르크 정원은 아름다운 메디치 분수로 유명하다.

몽파르나스 묘지는 프랑스에서 유명한 묘지 중 하나로, 장-폴 사르트르, 시몬 드 보보아, 샤를 보드레르, 사무엘 베켓 등의 유명 인물이 묻혀 있다.

독특한 묘비와 조각상으로 유명하다.

 

알레마뉴 프랑스 연구소 Institut français d’Allemagne.

 

1933년(29세)부터 1934년까지 샤르트르는 레이몽 아롱의 뒤를 이어 베를린의 알레마뉴 프랑스 연구소에서 에드문트 홋설의 현상학 철학을 연구한다.

 

사르트르와 아롱의 관계는 프랑스의 지적 다양성과 정치적 긴장을 보여준다.

마르크스주의와 연계되어 사르트르는 자본주의와 제국주의에 대해 강력한 비판을 한다.

반면 아롱은 자유 민주주의와 자본주의를 옹호하며 사르트르의 정치적 견해와 대립각을 세운다.

1950년대 초기에 발생한 한국 전쟁과 관련하여 프랑스 잡지 “레 탕 모던”에서 벌인 공개적 논쟁은 유명하다.

아롱은 정치 이론, 국제 관계 및 사회학 분석에 대한 작업으로 자유주의 정치 사상과 냉전 시대의 복잡성을 이해하는 데 기여한다.

 

에드문트 훗설은 독일의 현상학 창시자이다.

현상학은 의식과 경험의 구조에 중점을 둔 철학적 접근 방법으로, 우리가 의식에서 경험하는 대상들이 어떻게 나타나는지를 조사하여 외부 세계의 존재에 대한 의식 경험을 연구한다.

훗설이 개발한 현상학적 축소라는 방법론은 사르트르에게 깊은 영향을 미쳐서, 사르트르의 존재주의와 존재주의 현상학의 중요한 기반이 된다.

존재주의는 존재의 의미없음과 허무함에 직면하면서도 개인적 자유, 선택, 책임을 강조하는 철학적 및 문학적 운동이다.

 

 

첫 소설 구토(1938)’.

 

사르트르는 문학을 통해 실존주의를 형상화한다.

첫 소설 ‘구토(1938)’에서 실존주의 철학의 근저를 이루는 작가 자신의 체험을 드러낸다.

운명의 여름 소서小暑이다.

양적 성장을 마무리하고 질적 성장으로 치닫는다.

 

프랑스 제3공화국(1870-1940)은 독일이 경제난으로 제1차 세계대전 전쟁배상금을 못내자 심각한 재정적자에 직면한다.

1930년 금본위제에 기반한 프랑의 고평가환율정책으로 심각한 경제난에 빠진다.

1931년 7월 독일의 바이마르 공화국은 외환보유고의 고갈에 금본위제를 포기한다.

1932년 황폐화된 경제 위기를 모면하려 팽창적 통화정책을 꺼내든다.

1933년 히틀러의 독일 제3제국은 제1차 대전으로 무너진 인간성을 만신창이의 파국으로 내몬다.

 

사르트르는 프랑스 사회에 만연한 인간성의 도덕적 위기를 ‘구토’에 담는다.

사르트르의 또 다른 자아 로캉탱은 실존에 대한 자각이 있을 때마다 구토를 한다.

구토는 생리학적 현상이 아니라 존재론적 개념이다.

인간의 본래적 모습을 마주할 때 느끼는 낯설고 부조리한 감정이다.

연속된 권태적 삶에서 실존을 자각하는 순간 부조리가 세계를 장악한다.

존재계存在界는 의미와 필연성을 상실한다.

사물과 의식의 대립에 고통을 겪는다.

실존을 바로 보려하지 않는 속물들의 자기 기만과 위선에 절규한다.

실존에 가치를 부여하려 구토로 존재를 부르짖는다.

매순간 과거는 해체되고 미래를 포괄하는 현재의 시간성은 자유라는 저주를 선사한다.

미래를 향해 자신을 던지고 자유롭게 ‘스스로’ 실존을 만든다.

생성의 존재로서 현재를 온전히 사는 인간의 모습을 지향한다.

존재는 본질에 우선하는 ‘그 사람이 한 행동의 총합’이다.

구토는 ‘존재와 무無(1943)‘로 나타나는 사르트르 실존주의 철학의 근저이자 앙티로망의 선구적 체험이다.

사르트르의 실존적 선택과 인간의 자유는 1960년대 구조주의가 등장하자 침체에 빠진다.

 

Written by : nomadsirius

‘Sirius’ is the brightest star in the night sky. Its name is derived from the Greek word Seirios, meaning ‘glowing’ or ‘scorching’. Imagining Sirius rising just before sunrise, I begin the classic ‘Nomad’ journey. To let the West know the essence of Oriental culture, I am planning to publish 333 e-books and a Fantasy in English.

On Making  All Things Equal

All  things are essentially one. East and West can no longer be kept apart

A discerning mind is a fixed mind. It divides and confronts the world. The heart given by Heaven is an open mind. Embracing the world, there is no contention.

Leave A Comment